Tech

Diary

Lecture

About Me

개발중

Virtual Memory 2

JeongSeulho

2023년 02월 23일

준비중...
클립보드로 복사

📌paging system

  • 프로그램을 같은 크기의 블록으로 분할(pages)
  • page: 프로그램의 분할된 block
  • page frame : 메모리의 분할된 영역, 페이지와 같은 크기

❗️paging system 특징

  • 논리적 분할 아님(크기에 따른 분할)
    • page 공유 및 보호 과정이 복잡
  • simple and efficient
  • no external fragmentation
    • 페이지의 크기와 메모리에 분할된 page fram의 크기가 같기때문에 메모리 공간이 군데군데 많이 남아서 공간이 많이 남아도 적재되지 못하는 현상 없음
  • internal fragmentation
    • 프로세스를 페이지 단위로 분할하면 마지막에 남는 작은 부분이 있으므로, page frame 크기의 메모리에서 남는 부분 발생

📖address mapping

  • virtual address : V = (p,d)
  • p : page number
  • d : displacement(offset)
  • page map table(PMT) 사용
  • address mapping mechanism
    • direct mapping
    • associative mapping

✏️direct mapping

  • block mapping과 유사
  • 가정
    • PMT를 커널 안에 저장
    • PMT entry size = entry size
  • 과정
  1. PMT가 저장되어 있는 주소 b에 접근
  2. 해당 PMT에서 page p에 대한 entry 찾기
    • p의 entry 위치 = b + p * entrySize
  3. 찾아진 entry의 존재 비트 검사 3-1. 존재 안할 경우(page fault 발생) 디스크에서 page를 메모리로 적재후 다음으로 3-2. 존재할 경우 해당 entry에서 page frame 번호 p’ 확인
  4. p’와 가상주소의 변위 d로 실제 주소 r 얻기
    • r = p’ * pageSize + d

❌direct mapping 문제

  • 메모리 접근 횟수가 2배(PMT 접근, 메모리 접근)
  • PMT를 위한 메모리 필요

🔧direct mapping 해결 방안

  • associative mapping(TLB)
  • PMT 전용 공간 사용

✏️associative mapping

  • TLB에 PMT 적재
  • PMT를 병렬 탐색
  • low overhead, high speed
  • expensive hardware

✏️Hybrid Direct/Associative Mapping

  • 두 기법을 혼합
  • 작은 크기의 TLB 사용
    • PMT중 일부 entry를 TLB에 적재, 나머지는 메모리에
    • 어떤 page의 entry를 TLB에 적재할 것인가?
  • 지역성 활용 : 프로그램 수행 과정에서 한번 접근한 영역을 다시 접근 또는 인접영역을 다시 접근할 가능성이 높다
  • 과정
  1. 프로세스의 PMT가 TLB에 적재되어 있는지 확인 2-1. 적재 된 경우 residence bit 검사후 page frame 번호 확인 2-2. 적재 안된 경우 direct mapping으로 page frame 번호 확인, 해당 PMT entry를 TLB에 적재